정부지원금11 23년 4월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공임대 입주자 모집 공고 (신청자격 및 분양정보) 서울에서 교통이 편리하고 임대료가 주변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저렴한 '역세권 청년주택 공공임대" 신청이 4월 12일 수요일부터 있습니다. 청년분들 주목하세요. 신청자격 및 방법 안내해 드립니다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 1. 나이: 만19세~39이하 2.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에 따라 신청 조건이 상이함 ( 상세 내용은 하단의 첨부 파일 참조) 3. 무주택자: 신청자 본인 및 세대구성원 모두 무주택자여야함 (상세 내용은 하단의 첨부 파일 참조) 4. 자동차소유: 무 (업무용 트럭 등 예외사항 있음) 5. 소득기준: 소득 작을수록 유리 6. 자산기준: 대학생 계층 - 총 자산가액 합산기준이 8,600만원 이하 청년 계층 - 총 자산가액 합산기준 28,800만원 이하 신혼부부 계층 (예비 신혼부부 .. 2023. 4. 11. 23년 서울시 청년인생설계학교 모집 일정 및 과정 소개 개성 시대, 개인의 브랜드와 PR 을 통하여 나만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많은 청년분들이 이런 준비를 하고 계실까요. 막연한 나의 인생 설계를 전문 코치님들과 함께 설계해 볼 기회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어떤 코스가 있는지 과정 소개 및 모집 일정에 대하여 알려드릴테니 바로 신청해 보세요 1. 청년인생설계학교 신청자격 및 신청 방법 ▶ 신청자격 : 서울시를 생활권으로 하는 만 19 ~ 39세 청년 - (서울시 생활권이란) 서울시가 거주지, 대학 또는 직장 소재지인 경우 - (연령) 2023년 기준 만 19~39세 ▶ 모집 인원 : 각 기수별 총 200명 (라이프 80명, 커리어 80명, 리더십 40명) - 일반선정(50%) : 제출서류 없음 - 우선선정(50%) : 아래 13가지 요.. 2023. 4. 11. 23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지원대상 지원사항 신청안내 만 39세 이하 미취업 청년이시라면 취·창업시 인건비, 직무교육, 자격증취득비 등 2년 동안 연 2400만원 내외로 지원을 해 준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지원대상이 되는지, 신청 방법 알려드릴테니 꼭 활용해 보세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 사업이므로, 고향을 떠나 낯선 곳에서 근무하기 보다는 고향에서 자신에게 맞는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혜택을 알아보시고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원 대상 ○ 전국의 만 39세 이하 미취업(또는 이에 준하는 자) 청년이 참여 가능 ○ 사업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을 유지하면 됩니다. 상세 지원 내용 사업유형 (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에 따라 청년이 지역에서 취·창업시 인건비,.. 2023. 4. 10. 서울시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 무급휴직 근로자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방법 신청서류 서울시에서 소상공인 사업체를 운영하고 계신 사장님, 소상공인 사업체에서 일하시는 근로자분들 주목하세요. 고용장려금과 무급 휴직 근로자 유지 지원금 사업으로 자금 지원을 합니다. 바로 지금 신청하세요. 신청 방법 및 지원금액, 신청 서류 정보를 다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사업 개요 서울시가 소상공인의 인건비 부담을 덜고, 경기침체 속에서도 소상공인·소기업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총 107억 원을 투입하여 ①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사업 ② 무급휴직 근로자 고용유지 지원금 사업을 추진합니다 2.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사업 (기업주 지원) ○ 신청기간 : 2023.4.3. ~ 예산 소진 시 (토, 일, 공휴일은 이메일만 가능) ○ 지원대상 : 서울지역 소상공인 (접수는 사업주) ○ 지원요건.. 2023. 4. 7. 23년 경기도 여성 취업지원금 120만원 일자리 재단 지원 23년 4월 17일 월요일까지 경기도 여성분들 대상으로 취업지원금 신청을 받습니다. 취업지원금 자격 요건 및 신청 방법, 제출 서류 정보 등 세세히 알려드립니다. 1. 신청 자격 ▶ 아래 ①~④자격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신청 가능 ① 연령 : 공고일 (2023.03.30.) 기준 주민등록상 만 35세 이상 만 59세 이하 여성 ② 경기도 거주 : 주민등록 기준으로 공고일 이전 경기도에 전입 신고되어 1년 이상 계속하여 거주 중인 자 (※2022.03.30. 이전부터 거주) ③ 미취업 : 주 근로시간 20시간 미만, 사업자 등록증 미보유 - (취업) 고용보험 가입기준. ※ 단 고용보험 미가입자이더라도 근로계약서 등을 통하여 주 20시간 이상 근로자임이 증명될 경우 취업으로 간주 - (창업) 사업자등록증이 있.. 2023. 4. 6. 이전 1 2 다음